혼종의 감각을 잇는 조각 풍경
Category
Publisher
Writer
Year
Publisher
Writer
Year
PUBLIC ART
Jihyung PARK
2022
김병호의 작품은 그 모양이나 생김새가 화려하고 표면은 지나칠 만큼 매끈하거나 반짝인다. 이러한 외형적 특징은 그의 조각을 자칫 장식적인 요소에 기댄 입체물로 오독할 위험을 내포한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나 자신을 넘어 현대 인류를 지탱하는 삶의 양상을 찾아내고 이를 세심하게 가공하여 동시대의 환경 전반의 감각을 종합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문명’은 그가 오랜 시간 천착해온 탐구의 영역이다. 현대 사회가 자연으로부터 주어진 것을 인간이 후천적 지식과 기술로 가공하고 확장시켜온 결과라고 볼 때, 법과 제도, 경제 논리, 문자, 공동체의 구성원, 전통적 관습 등은 문화의 산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작가는 그보다 훨씬 더 미시적이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이를 읽어내고자 한다. 가령 평면이나 수평, 수직, 두께와 같은 개념을 예로 들 수 있다. 열거한 것들은 인류가 고안해 낸 인공물이며 현실에서 완벽하게 실현될 수 없다. 그럼에도 세상의 모든 3 차원적 공간은 이 모순적 전제가 가능하다는 믿음에서 출발하며, 작가는 상반되는 현상들의 이질적인 수용과 조합이 문명의 핵심이라고 파악한다. 그러므로 그의 언어는 충돌하는 조건들을 가시화하고, 그 불협화음이 생산하는 기이한 리듬을 자의적 의미의 아름다움으로 치환함으로써 동시대적 풍경을 그려내는데 목표가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지면을 통해서나마 전시의 동선을 따라가며 작품을 살펴보자. 전시장은 어둠과 빛이 교차하는 네 개의 장으로 구분되고, ‘정원(Garden)’으로부터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집의 입구나 특정한 건축물의 주변에 위치한다. 이것은 인간의 의지에 의해 선택되고 가공된 형식이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각 문화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2013 년 이후부터 작가의 작업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단서인데, 그는 정원을 자연적인 것과 조작된 것이 뒤섞인 혼종으로 본다. 즉 주어진 환경이 인위적 계획과 침입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변화할 때 정원이라는 특수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가 가꾸어 놓은 정원은 작가만의 기하학적 논리를 따라 계획적으로 구축되었다.
정원을 지나 등장하는 장면은 또 한 번 자연으로부터 추출한 인공물의 유비에 관한 것이다. 계절과 기후의 변화에 따라 생물은 소리 없이 태어나고, 성장하며, 죽음을 맞이한다. 이 순환은 소란스럽지 않으나 웅장하고 숭고한 것이며, 인간은 이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파편적으로만 감지할 뿐이다. 문명의 순환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작가는 역사가 공시적/통시적 인식의 영역을 초월하여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 사이를 흐르고 번져가는 형국을 꽃의 수분과 씨앗이 퍼져가는 과정과 겹쳐본다. 전시의 두 번째 장인 ‘수집된 장면들(Collected Scenes)’에 설치된
세 번째 전시장을 들어서면 열 아홉개의 길쭉하고 뾰족한 형상의 뒷모습 시야에 들어온다. 그들은 은은한 먹의 향을 풍기는 반짝이는 물 위에 조용히 떠있다. 신체 크기를 훌쩍 넘는
신들의 자리를 지나 마지막 방에 이르면 ‘기념비화(Monumentality)’에 관한 화두가 등장한다. 무엇인가를 기리고 기록하기 위해서는 의미를 담는 형식이 필요한 데, 현실에서는 주로 상징적인 대용물을 통해 공통된 기억이 공유되고 확산된다. 어두운 방에 속한 조각들은 대부분 앞선 다른 작업들이 발산했던 빛을 완전히 흡수하거나 수렴한 듯 새까맣게 뒤덮인 표면을 가지고 있어 스스로를 드러내기보다는 감추려는 듯 보일지 모른다. 그런데 부수적인 미사여구를 내려놓는 방식은 역설적으로 대상의 본질적인 얼개를 더 또렷하게 마주하게끔 한다. 구멍이 뚫린 공백(void)처럼 느껴지는 검은 존재들은 가장 근원적인 형태를 가감 없이 드러내고 비물질/물질, 입제/평면, 음/양 사이의 위치를 점유하며 생경한 감각들을 일깨운다. 결국 작가는 이 자리를 빌어 현대 산업 사회 속 원소들을 다수와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하학적 양태의 기념비로서 제시하고 있다. 전시의 마지막 광경은 곧 전시장 가장 처음의 풍경, 빛을 뿜어내던 태초의 것들과 수미상관을 이루며 양면적인 것을 포용하고 기묘한 균형을 끌어안는 작가 김병호만의 세계를 더욱 선명하게 한다.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절정/정점(Climax)’은 보통 사물이 가장 높은 지점에 다다랐음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긴장감을 암시하거나 측정 가능한 수치를 넘어서는 쾌의 순간을 떠올리게도 한다. 그가 가용하는 조형 언어의 정점에서, 우리는 충돌과 이접의 연쇄 속에서도 결코 멈춤이 없이 영위되는 현대 문명과 인간 사이의 보편의 관계를 또렷하게 재확인하게 될 것이다. 문명이 사고의 틀을 세우는 동력이라고 한다면, 현실의 미세한 입자들이 김병호라는 치밀한 힘의 필터를 거쳐 누군가의 생각에 울림을 만들어내는 찰나는 작은 문명의 탄생과 크게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