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chanted Memories



WWNN Gallery
2023.12.22-2024.1.21
Solo Exhibition

First impressions of Byoungho KIM’s work often pertain to the sculptures’ metallicity, geometric lucidity, or polished form. Ironically, his sculptures imply anxiety and fright. Like the “Gilded Age,” an era and phrase coined by Mark Twain, Kim’s sculptures have mirror-like surfaces and are highly well made than any other sculpture; nonetheless, the anxiety and fright inherent in them become more apparent, perhaps more so the more well-made they are. We don’t experience the beauty of relief and satisfaction, but rather an uneasy and marvelous sublimity—in other words, “compulsive beauty” created by anxiety. 

His works slowly elevate tension by causing anxiety and fear and overwhelm the viewer. This feeling of anxiety also transforms into a sense of marvel through the sensual and tactile surface and dazzling metallic colors of the sculptures. A pivotal clue to understanding his work is retrieved from the fact that the word “marvel” has been in use since the medieval era and indicated fissure in order. The sculptures are based on geometric lucidity, symmetry, and balance, but they also generate a type of self-contradictory marvel that deviate from order and the norm.

김병호 작품에 대한 처음 인상은 대부분 금속의 물질성이나, 기하학적 명징, 또는 세련된 조형미에 관한 것이 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의 작품은 기저에 불안과 두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마크 트웨인이 명명한 ‘도금시대 (Gilded Age)’처럼 김병호의 조각은 다른 어떤 작품보다 거울같이 빛나는 표면과 이음새 하나 보이지 않는 고도의 완성을 성취함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럴수록 더욱 내재적 불안과 섬뜩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안도와 만족의 아름다움이 아닌, 유혹적이지만 치명적이고, 불안하면서 경이로운 아름다움, 즉 불안이 창조한 ‘강박적 아름다움(compulsive beauty)’을 경험하게 된다.

그의 작품은 불안과 두려움을 통해 긴장을 서서히 고조시키며 압도한다. 또한 이 불안은 관능적이고 촉각적인 표면과 화려한 메탈 컬러에 의해 경이로움으로 전환된다. 경이라는 단어가 중세부터 사용되었으며, 질서에 생긴 균열을 지시하였다는 점에서 김병호의 작품을 이해하 는 결정적 단서를 얻게 된다. 기하학적 정확성과 대칭, 균형에 기반하고 있지만, 그의 작품은 한편 그러한 질서와 규범에 어긋난 일종의 자기 부정적인 경이를 형성한다.


© Byoungho KIM. All Rights Reserved.